불평등
-
도시는 왜 불평등한가, 리처드 플로리다세상이 내게. 내가 세상에게/책과 나누는 이야기 2019. 3. 16. 15:23
1.다른 국가 대비 임금 수준, 1인당 국민소득 대비 주택 가격 등 불평등을 설명하고자 하는 지표도 많다.연말정산을 하거나 연봉 협상을 하는 시기에는 각종 분석 기사가 등장한다.그만큼 불평등은 늘 기사로 다뤄지는 단골 손님이다. 2.기본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의식주' 중에 하나여서 그럴까. 하루 24시간 중 최소 7~8시간을 머무를 수밖에 없기 때문일까.아니면 일과를 마치고 돌아오는 공간, 안정감을 느끼고 싶은 공간이기 때문일까.부동산은 불평등을 이야기 하다보면 가장 중심이 되는 주제다. 이 책은 도시 불평등을 분석하고 제안한다.도시의 현 상태를 분석한다. 각종 통계 지표가 등장하고 이를 설명한다.도시 불평등이 커지면 오히려 성장을 방해한다고 주장 한다. 3.책을 읽고 있자니 저자 의도와는 다른 생각이..
-
헤크먼 "불평등 해소가 경쟁력 높여 국가경쟁력 키운다" - 매일경제세상이 내게. 내가 세상에게 2014. 1. 4. 10:35
헤크먼 "불평등 해소가 경쟁력 높여 국가경쟁력 키운다" 주장 : 불평등 해소가 경쟁력을 높여 국가경쟁력을 키운다. 전제 : 사회∙경제적 큰 손실로 이어진다. ← (열심히 해도 신분상승 방법을 못찾으면 자포자기에 빠지게 된다.) ← (위대한 개츠비 곡선; 경제적 불평등이 심할수록 사회∙경제적인 세대 간 계층이동을 어렵게 만든다는 이론.) 청소년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취약 청소년층의 사회∙문화적 기술 개발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 ← (청소년기에 학습 동기가 제대로 부여되지 않으면 성년이 됐을 때 경제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 (기술이 또 다른 기술을 낳고, 한 번 부여된 동기가 또 다른 동기를 부른다.) 단순히 보조금이나 지원금 등으로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