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콘텐츠허브
-
SBS콘텐츠허브지난 흔적들 2015. 3. 28. 17:29
지난번 SBS콘텐츠허브에 대해서 글을 적은 후 주담과 통화를 하였다.통화를 하고 기록을 해놓지 않아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따라서 다소 왜곡하여 기억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1.Q. 수익 인식 기준을 보니 주로 3 단계에 걸쳐 인식 되었다. 1) 가득과정 완료 2) 신뢰성 있는 수익금액의 측정 3) 높은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었다. 일부 수익은 진행률에 대하여 측정된다고 되어있었다. 3단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어떻게 인식이 될까?- 이 질문은 하지 않았다. 그런데 가만히 보면 너무 기본적인 질문이었다. 수익 인식이 되지 않을 것이다.Q2. 진행률은 어떻게 계산될까?- 이 부분은 문의를 하였으나, 진행률을 적용하는 매출의 비중이 극히 작다고 전달받아 별 의미 없는 부분이 되었다. 컨텐츠 쪽 매출이..
-
SBS콘텐츠허브 재무제표 갖고 놀기 #1지난 흔적들 2015. 3. 23. 20:51
오랜만에 다시 SBS콘텐츠허브의 2014년도 재무제표를 펼쳤다. 그동안 너무 엉터리로 한 것 같아 다시금 차근히 넘기기 시작했다. 1. 매출액이 소폭 늘었다.부문별로 보니 콘텐츠사업부문은 줄고 미디어 및 광고/MD사업부분의 매출은 늘었다. 이는 국내외 컨텐츠 계약 매출이 줄고 인터넷 플랫폼을 통한 유통 매출과 광고/MD 수익은 유지 수준이라는 말로 들렸다.Gross profit%을 사업별로 보니 2014년 콘텐츠 15.2% 미디어 5.3% 광고/MD 8.5%였고, 2013년 콘텐츠 18.4% 미디어 20.1% 광고/MD 13.7%였다. 수익성 & 매출 Volume 감소로 인한 매출 정체였다.수익 인식 기준을 보니 주로 3 단계에 걸쳐 인식 되었다. 1) 가득과정 완료 2) 신뢰성 있는 수익금액의 측정 3..
-
종목 투자에 대한 고찰..지난 흔적들 2012. 8. 29. 14:36
투자 관련 서적을 읽고 고뇌하고 기업을 분석해보며 투자를 한지, 다시 말해서 본격적으로 투자에 대해서 공부한지 벌써 반년이 넘었다. 아직 갈 길은 멀고 내가 너무 작게만 느껴진다. 다시 돌이켜보니 그동안 실력으로 수익을 얻었다고 하기 보다는 운으로 얻은 것 같다. 그렇다고 많은 수익을 얻은 것은 아니다. 어쩌면 은행 예금을 넣는 것이 더 큰 수익을 주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보유 주식 수익률이 매번 변하니 그런 것이다.) 사실 이번에 이렇게 글을 적게 된 것은 두가지 의문에서이다. 1. 저평가된 기업이 있다. 그러나 비중을 늘리면 포트폴리오가 뒤틀릴 듯하다. 게다가 확실히 언제 오를지는 모른다. 이 상황에서 저 종목을 더 사야할까? 2. 위와 같은 상황에서 다른 기업을 알아보고 있다. 그리고 매력적인 기..
-
SBS콘텐츠허브지난 흔적들 2012. 2. 14. 22:18
일시 : 2012.02.14 제주도와 MOU 체결 제주도는 국제적인 관광도시이다. 유럽이나 북미에서 많이 오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내에서 가장 관광에 특화된 곳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런만큼 제주도를 한류 문화 콘텐츠의 중심지로 만든다면 파급효과가 가장 클 수 있다. 섬이라는 한계가 있다. 제주도에 얼마나 장비가 잘 갖추어져 있는지 모르겠다. 오히려 타지에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전광판 등으로 효과를 보면 어떨가 한다. 제주도에서 콘텐츠를 만들으려면 제주도의 특성을 드러내야 할 것 같다. 제주도 기념품으로 효과를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점을 고려한다하더라도 과연 효과가 좋을 지는 모르겠다. 기념품으로는 열쇠고리와 같이 간단하면서도 그 고장의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을 구매하기 때문이다..
-
SBS콘텐츠허브지난 흔적들 2012. 2. 13. 23:05
일시 : 2012.02.13 대표이사 공영화 대표전화, 주담 02 - 2001 - 6656 설립일 1999년 08월 21일 출범일 2009년 09월 사업영역 콘텐츠 사업 플랫폼 사업 미디어 산업 문화 산업 매출비중 : 콘텐츠사업 (48.1%), 미디어사업 (27.7%), 엔터사업 (24.3%) 각 사업 설명 1) 콘텐츠사업 - 방송콘텐츠의 기획, 투자, 제작, 유통 사업을 말하며, 유통사업은 방송콘텐츠 권리와 이와 관련된 부가사업 권리의 국내 및 해외 판매를 포함 2) 미디어사업 - SBS 및 SBS 그룹 홈페이지 운영사업과, SBS방송콘텐츠를 인터넷, IPTV, 모바일 등의 매체에 제공하는 서비스와 광고 사업 3) 엔터사업 - 엔터사업은 음악,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MD사업, 문화행사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