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
[투자 일기 10] PBR, 할증과 할인'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6. 4. 16. 20:49
1. PBRPBR은 현재 가격과 자본을 비교하는 수치이다.즉, PBR 1은 현재 가격과 자기자본 금액이 같다는 말이며,PBR이 1보다 크면 다소 가격이 비싸게,PBR이 1보다 작으면 다소 가격이 싸다는 의미이다. 2. 할증? 할인? 무엇이 좋지?사람들은 대게 비싸면 안좋고 싸면 좋다고들 한다.하지만 여기서는 다소 다르다.다시 말하면, 할증이냐 할인이냐에 따라서 좋고 다름이 결정되지 않는다.예를 들어보자.매년 300원을 버는 A사와 매년 1500원을 버는 B사가 있다.A사와 B사의 자기자본은 모두 10,000원이나A사는 8,000원, B사는 15,000원이 시장가이다.여기서 어느 기업이 좋다고 할 수 있을까. 3. 결국 기대수익률과 투자기간결국 투자를 할 때에는 본인이 기대하는 수익률과 얼마나 보유할 것인..
-
[투자일기 9] 기업가치 평가 - 들어오는 돈과 나가는 돈'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6. 3. 1. 15:42
기업가치 평가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늘 언급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현금 흐름이다.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할 때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금 흐름에는 들어오는 돈과 나가는 돈이 있다. 1. 들어오는 돈 기업은 사람들에게 유무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돈을 받는다. 그렇기에 기업에 돈이 많이 들어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던가 더 비싸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혹은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아야 한다. 2. 나가는 돈 기업이 서비스를 만드는데 당연히 돈이 든다. 이 때 들어가는 돈은 무척 다양하며, 이 돈을 잘 관리해야 나가는 돈이 줄어든다. 나가는 돈에는 매번 똑같은 금액이 나가는 항목이 있고 나가는 금액이 상황마다 다른 항목이 있다. 전자를 고정비라고 하고, 후자를 변동..
-
[투자일기 8] 주식으로 돈을 버는 방법: 거래, 투기, 투자'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6. 2. 27. 17:50
주식(and/or 기업의 자산)을 매수하여 돈을 버는 방법에는 투자, 투기, 거래 등 3가지 방법이 있다. 1. 투기투기는 가격이 상승할 것처럼 보이는 자산을 매수하는 행위이다.주변에서 들은 말로 자산을 구매하는 행위 역시 이에 속한다.아무런 근거가 없었기 때문이다.흔히 말하는 대박은 투기에서 나온다.한번 터졌다 하면 10루타도 칠 수 있다.하지만 언제 대박이 날지는 알 수가 없고 그렇게 될 확률도 적다. 2. 거래거래는 어떤 이유에서든 자산 가격이 가치보다 낮을 때 사서 보다 높은 가격에 파는 행위이다.이러한 행위에는 근거가 있고 가치를 평가하는 행위가 반드시 포함된다.무릎에서 사서 어깨에 파는 행위는 투자보다 거래에 가깝다.단기적으로 수익이 발생할 곳을 계속 찾아다니기 때문에, 투자보다 수익이 좋을 ..
-
[투자일기 7] 기업의 가치에 대하여'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6. 1. 24. 22:41
1. 중요한 것은 미래의 현금흐름이다.재무학에서 기업의 가치는, 현재 혹은 미래에 기업이 창출하는 모든 현금흐름의 현가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현재 기업의 가치는 근래의 현금흐름(Recent CF)로부터 가장 큰 영향력을 받는다는 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면, 시간이 흐를수록 근래의 현금흐름보다는 먼 미래의 현금흐름이 미치는 영향력이 커질 뿐만 아니라 근래의 현금흐름은 그 영향력이 0이 되고 만다고 할 수도 있다. 투자자는 미래의 시점에 금융자산을 처분한다는 사실을 염두하면, 기업의 가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미래의 현금흐름인 것이다. 2. 미래의 현금흐름은 R&D가 창출한다.미래에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지금 사업을 잘 하는 것이고, 다..
-
[투자일기 6] 패스트푸드 전략에 대한 고찰'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5. 10. 11. 18:19
*이는 HBR 10월호를 읽던 중 떠오른 생각입니다.1. 현재 세계의 경제 현황에 대한 가정 -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어, 총수요량이 줄어들 수 있다. - 폭발적으로 경제적 성장을 이루어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가 적다. 세계 각 국의 고용 시장이 연결되어 인재의 이동이 자유로워져 각 국의 인건비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 2. 가정에 대한 설명이러한 가정이 실제로 이루어진다면, 기업들은 판매량 증가를 통해 매출을 증가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오늘날 다수의 스타트업들이 니치 마켓을 노리는 상황에서는 더욱더 그러하다. 세계 인구가 구매할 수 있는 총량이 제한적인데 제공하는 서비스가 늘어난다면, 각 기업들이 가져가는 파이가 작아진다는 말이다.인재 이동이 자유로울 경우, 주요 인재는 원하는 돈을 주는..
-
[투자일기 5] 부동산과 유사한 주식'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5. 9. 20. 23:45
주식은 비유동자산으로서 부동산과 유사하다. 기업의 가치는 주주의 가치와 채권자의 가치를 합하여 산정한다. 그런데 기업의 의사결정권을 고려하면 기업의 가치는 주주의 가치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주주 가치는 주식의 가치로 대변된다. 다시 말하면, 주식은 기업의 일부이다. 기업은 다양한 자산을 보유한 하나의 객체로 보유한 자산을 활용하여 현금을 벌어들인다. 이때 기업의 자산은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기업의 상황은 특수한 경우가 아닌 이상 급격히 변하는 경우는 극히 때문이며, 제조업이든 아니든 보유하는 자산의 대다수는 사무실, 공장 등의 유형자산과 영업권 등의 무형 자산이기 때문이다.인력은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 가능하나 이는 재무상태표 상에서는 별다르게 드러나지 않는다.결국 기업 자체는 크게 변하는 경우는 극히 ..
-
[투자일기 4] 품질경영을 하는 기업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5. 9. 19. 16:38
1. Intro: 주식투자의 정의- 주식 투자는 기업을 소유하는 행위이다. 이 외에 다양하게 정의내릴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자산을 증식시키기 위해서 주식투자를 한다고 하면, 이 정의에 가까울 것이다.- 자산을 증식시킬 수 있는 기업은 이익이 발생하는 기업이다. 여기서 이익이란 수익(Revenue)에서 비용(Expense)를 제한 금액을 말한다.- 이익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수익이 발생해야 한다. 수익은 서비스의 수량과 서비스의 가격에 의해 결정이 된다. 비용 측면도 중요하긴 하지만, 이는 한계가 있기에 수익보다 중요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2. 수익이 발생하는 기업: 대중들의 Needs&Wants를 만족시키는 기업- 비용을 cover할 수 있는 수익이 발생한다는 것은, 대중들의 다수가..
-
[투자일기 3] 자본투자자에 대해서'수'의 이야기/투자 일기 2015. 9. 8. 20:20
세상에는 다양한 투자자들이 있다. 투자를 증권사 등으로 제약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가진 자원을 다른 사람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정의하면, 그 스펙트럼은 훨씬 더 다양해진다. 나는 그 중에서 특정 투자자를 자본투자자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1. 정의: 자본투자자는 기업 운영의 최후 버퍼인 자본을 매입함으로써 기업의 성장을 누리는 지원자이다. 이들은 소유를 목적으로 자본을 매입하며 왠만해서는 이를 매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지속적으로 기업과 켜뮤니케이션(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소통 및 심층적인 대화)을 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그들 나름의 직관, 통찰력, 논리, 분석력 등을 기반으로 한다. 2. 행동: 그들의 행동은 매입과 지원이 대부분이다. 특히 지원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매입은 일회성 행위이나 지원..